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예기치 않게 떨어뜨려 액정이 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삼성 휴대폰 갤럭시 S21 시리즈(S21, S21 플러스, S21 울트라)의 액정 수리 비용에 대해 삼성서비스센터와 사설수리업체 비교 수리비 알아보겠습니다.
갤럭시 S21 액정 수리비
글 쓰는 2025년 3월 기준 갤럭시 S21 시리즈의 액정 수리비용은 모델별로 차이가 있는데요. 출시된 지 4년이 지난 제품이지만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어 수리 수요가 꾸준하게 있는 모델 중 하나입니다.
1. 삼성 공식 서비스센터
장점
- 정품 부품 사용으로 품질 보증
- 추가적인 문제 발생 시 AS 가능
- 방수 기능 유지 가능성 높음
단점
- 상대적으로 비싼 수리비용
- 예약 필요 및 대기 시간 발생 가능
2. 사설 수리점
장점
- 공식 센터보다 저렴한 가격
- 빠른 수리 가능 (당일 수리)
- 위치적 접근성 좋음
단점
- 부품 품질 차이 있을 수 있음
- 방수 기능 손상 가능성
- AS 보증 범위 제한적
갤럭시 S21 액정 수리비
- 일반 액정 교체: 약 15만 원~18만 원
- 내부 디스플레이만 파손: 약 12만 원~15만 원
- 삼성 공식 서비스센터: 약 20만 원 내외
갤럭시 S21 플러스 액정 수리비
- 일반 액정 교체: 약 17만 원~20만 원
- 내부 디스플레이만 파손: 약 14만 원~17만 원
- 삼성 공식 서비스센터: 약 22만 원 내외
갤럭시 S21 울트라 액정 수리비
- 일반 액정 교체: 약 23만 원~28만 원
- 내부 디스플레이만 파손: 약 18만 원~22만 원
- 삼성 공식 서비스센터: 약 30만 원 내외
삼성 서비스센터 홈페이지 챗봇에 자신의 모델을 입력하시면 정확한 수리비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M-S908, 갤럭시 워치 6, 갤럭시 Z플립 3 등)
삼성전자서비스 챗봇
삼성전자서비스 챗봇
www.samsungsvc.co.kr
액정 수리비 절약 팁
1. 삼성 케어플러스 활용하기
갤럭시 S21 구매 시 가입한 삼성 케어플러스가 있으면 파손 수리비의 상당 부분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기부담금 5만 원~10만 원 정도로 수리가 가능합니다.
2. 휴대폰 보험 확인하기
통신사나 카드사를 통해 가입한 휴대폰 보험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2천 원 정도의 부가서비스로 많은 보험상품들이 액정 파손에 대한 보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수리점 비교하기
지역 내 여러 수리점의 가격과 리뷰를 비교해보세요. 가격 차이가 크게는 5만 원 이상 날 수 있습니다.
4. 프로모션 활용하기
삼성전자는 주기적으로 액정 수리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합니다. 특히 구형 모델에 대한 교체 지원 프로그램이 종종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예방이 최선의 대책!
삼성 갤럭시 S21 시리즈 중 울트라의 경우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고해상도 패널로 인해 수리비가 더 높은 편입니다. 미리 보험이나 케어 서비스에 가입해 두면 예상치 못한 사고에도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갤럭시 배터리 수명 확인 및 교체 비용 (배터리 수명 늘리는 팁)
모바일로 고사양 게임이나 유튜브, 넷플릭스 등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배터리에 부담이 되는 것이 느껴지곤 합니다. 휴대폰을 2년 이상 썼다면 성능이 느려지는 느낌까지 들곤 합니다. 확인해
palantir.tistory.com
스팸문자 링크 차단 방법 (가짜 택배, 부고장 스팸 스미싱 이젠 안녕!)
부고장 스팸 스미싱 문자 받아보셨나요? 청첩장이나 부고장에 가짜 링크를 달아서 무심코 링크를 누르는 순간 나의 휴대폰은 좀비폰이 되고 맙니다. 삼성 갤럭시폰에서 1분 만에 이런 쓰레기 링
palantir.tistory.com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소 재고조회 사이트 링크 (다이소몰) (0) | 2025.03.23 |
---|---|
천주교 여자 세례명 추천 순위 목록 (0) | 2025.03.20 |
에버랜드 주차장 만차확인 방법 및 주차요금 팁 (2) | 2025.03.15 |
2025년 손없는날 이사 월별달력 (손없는날 뜻) (0) | 2025.03.14 |
2025 국비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방법 절차 총정리 (0) | 2025.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