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는 도로 미끄럼 사고를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추운 날씨 만일의 사고에 대비하여 타이어 마모도와 타이어 공기압 수치 점검은 필수인데요. 겨울철 suv와 승용차 타이어 공기압 적정 수치와 주변 타이어 공기압 넣는 곳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적정 수치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수치에 앞서 타이어 마모도부터 체크해 보세요. 타이어 마모도 체크 방법은 간단합니다.
- 100원짜리 동전을 타이어 홈에 이순신 장군님 머리부터 넣어 감투가 완전히 가려져야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공기가 수축돼 여름철보다 타이어 공기압이 4~5% 정도 낮아집니다. 외부 기온이 10도씩 떨어질 때마다 공기압이 약 2.6 psi정도 감소한다고 하는데요.
또한 무게가 많이 나가는 suv같은 차량이나 평소 물건을 많이 싣는 차량의 경우에는 공기압을 조금 더 높게 유지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겨울철에는 최소 월 1회 주기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고 적정 수치를 유지해 주셔야 합니다.
그래도 불안하다면 차가운 노면에서 딱딱해지는 단점을 보완한 겨울용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은 2015년 이후 국내 출시 모든 승용차에 의무적으로 장착하고 있는데요.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를 항상 체크해 주는 안전 시스템입니다.
타이어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차량의 컴퓨터로 보내 분석하고 운전자에게 경고등 등으로 알려주는데요. 문제가 없으면 경고등이 잠깐 켜졌다가 꺼지지만, 문제가 있으면 계속 켜져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psi(파운드/평방인치) 또는 kPa(킬로파스칼) 단위로 표시됩니다. psi는 주로 북미 지역에서 사용되며, kPa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단위입니다. 두 단위 간에는 환산 관계가 있으므로, 사용 설명서에 표기된 단위를 확인하고 적절한 공기압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자동차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은 차종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는 차량 사용 설명서나 운전석 도어나 주유구 커버를 열었을 때 안쪽에 붙어 있는 스티커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30~35psi 정도가 적당하지만, 차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유의할 점은 명시된 최대 압력값의 약 80%정도가 적절한 압력 수준입니다.
- 경차: 30~32 psi
- 승용차: 32~34 psi
- SUV: 34~36 psi
- RV: 40~42 psi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은 평소보다 1~2 psi정도 더 높여줘야 적정 수치입니다.
주변 타이어 공기압 넣는 곳
- 대형마트, 백화점 지하 주차장
- 휴게소 주유소
- 셀프 주유소
- 셀프 세차장
- 자동차 제조사 정비업체 (블루핸즈, 오토큐 등)
- 카센터
주변 타이어 공기압 넣는 곳은 이렇게 많이 있습니다. 무료로 셀프로 공기압을 넣는 곳도 있고, 약간의 금액을 지불하는 곳도 있으니 미리 물어보시고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관리로 안전 운전하시길 바라며, 지금까지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적정 수치와 주변 타이어 공기압 넣는 곳 안내였습니다. 끝.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여름철 차량 관리 (feat. 여름철 타이어 공기압)
여름철 차량 관리 하고 계신가요? 겨울철에 비해 차량 관리를 소홀히 할 수도 있지만 여름에는 폭염과 장마철, 휴가 시즌으로 장거리 운행도 많아지고 자동차 점검 관리를 하셔야 합니다. 여름
palantir.tistory.com
타이어 사이즈 보는법 (타이어 생산년도, 제조일자, 가격)
내 차 타이어를 교체할 때 찾아봐야 할 것이 자동차 타이어 사이즈입니다. 최근에는 온라인으로 타이어를 구매하거나 미리 타이어 전문점 홈페이지에서 주문을 하는 경우가 있어 꼭 알아둬야
palantir.tistory.com
휠도색비용 후기 (액상도장 분체도장 차이점과 장단점)
얼마 전, 싼타페 mx5 타이어휠 일명 중식도휠 도색을 진행하였습니다. 순정 그대로도 좋았지만 뭔가 더 일체감을 주고 싶어 블랙휠로 도색을 했는데요. 휠도색비용을 알아보면서 알게 된 액상도
palantir.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