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정보

싱크홀 원인 생기는 이유 (자연적, 인위적 원인)

by 인천군 2025. 4. 2.

싱크홀(Sinkhole)은 지표면이 갑작스럽게 꺼지며 구멍이 생기는 현상으로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최근 국내외에서 싱크홀이 빈번히 발생하며 도시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데요. 싱크홀 원인과 생기는 이유와 서울 싱크홀 위험 지역 지도 안내입니다.

 

싱크홀원인생기는이유

싱크홀 원인과 생기는 이유

싱크홀은 지하의 암석이나 토양이 침식되거나 용해되어 지반이 약화되면서 발생합니다. 석회암과 같은 탄산염암 지대에서 물에 의해 암석이 용해되면 공동(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 위의 지표층이 붕괴되며 싱크홀이 생기게 됩니다.

 

1. 자연적 원인

  • 석회암, 백운암 등 탄산염암 지대에서 물의 화학적 용해 작용으로 공동이 형성됩니다. 한국에서는 석회암 지대가 남한 면적의 약 18%를 차지하며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역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지하수의 과다 사용이나 자연적인 흐름 변화가 지반 침식을 유발합니다.
  • 장마철과 홍수로 인해 지반이 약화되고 토사가 유실되어 싱크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인위적 원인

  • 극단적인 강우와 홍수가 인프라를 약화시키고 싱크홀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상·하수도관 파손 및 누수로 인해 주변 흙이 유실되며 싱크홀이 발생합니다. 서울시 하수관의 70% 이상이 20년 이상된 낡은 시설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 터널, 건물 등 지하구조물 건설 시 굴착 작업으로 인해 지반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굴착 과정에서 토사와 물이 몰리며 싱크홀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서울지역 싱크홀 위험 지도

  • 광진구 22곳
  • 종로구 9곳
  • 금천구 7곳
  • 성동구 3곳
  • 구로구 3곳
  • 마포구 2곳
  • 강남구 2곳
  • 노원구 2곳

서울 땅꺼짐 위험 지역은 총 50곳이며, 싱크홀 위험 지도 자료는 MBC에서 공개한 자료입니다.

 

서울싱크홀위험지역.pdf
0.06MB

 


서울시는 불안감만 조성할 수 있다며 싱크홀 고위험 지역을 공개하고 있지 않는데요.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조사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싱크홀은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의 복합적인 결과로 발생합니다. 도시 안전을 위협하는 싱크홀은 기술적 예방과 사회적 대응을 통해 싱크홀 위험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비가 필요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NtW5xx5aiw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

댓글